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반응형
331

[마케팅] 광고와 홍보의 차이 광고와 홍보의 차이는 같은 듯하면서도 다르다. 한 부모한테 태어났어도 형제가 각각의 인격을 형성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형제는 부모에게서 비슷한 DNA를 받았으며, 부모의 혈액형을 조합한 상태로 태어난다. 그럼에도 성격도, 학업도, 목표도 다르다. 위 비유가 광고와 홍보의 차이를 설명 해 줄 수 있다. 우선 광고부터 살펴보자. 광고는 소비자에게 제품을 팔게한다. 어떠한 장점이 있고, 어떠한 모습이고, 경쟁업체보다 저렴하다. 그에 반해 성능이 좋고, 휴대하기 좋다 등 우리가 혹 할 만한 어떠한 미사어구를 붙여가면서 설명한다. 여담이겠지만 대한민국에서는 TV 광고에서 유명한 배우가 선전하는 것이 좋다 라는 정설이 있다. 배우가 가지는 이미지가 그대로 제품으로 투영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땅이 좁고 인구가 적어.. 2020. 4. 21.
[생각] 매력적인 사람의 대화 스킬 옛말에 말 한마디로 천 냥 빚을 갚는다는 말이 있다. 그만큼 말 한마디의 힘이 중요하다는 말이고 반대로 이야기하자면 그만큼 말 조심해라는 뜻이기도 하다.특정 누군가와 이야기를 하다보면 금세 지루해지는 사람이 있는 반면 오랜 이야기에도 전혀 지루하지 않은 사람이 있다. 후자의 경우 이야기를 하면 할수록 더더욱 매력에 푹 빠진다. 그 사람이 물건을 사라고 하면 당장이라도 살 것 같다. 영업직군이 아닌 직군의 사람은 굳이 말을 매력적으로 할 필요 있을까? 내 생각은 영업직군을 포함해서 모든 직군의 사람이 매력적으로 말해야 한다. 아니, 말을 할 줄 아는 모든 사람이 말을 잘해야 한다. 왜냐면 모든 사람이 특정한 정보가 필요로 하는데 그 정보를 대화로 풀어내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반대로 많이 듣기도 하는데 .. 2020. 4. 21.
[생각] 별의 이야기 카페에서 책 읽다 지쳐 아무 생각없이 하늘을 쳐다봤다. 흔하디 흔한 위성 불빛도 보이지 않는다. 별이라도 보고 싶었는데. 누군가 그랬다. 지금 당장의 금을 찾기 위해서 땅만 본다면 별의 아름다움을 보지 못할 것이라고... 그런데 이 말을 믿고 열심히 달렸는데 과연 내가 보고 싶은 별아 무엇일까? 생각을 해봤다. 하늘의 별이 많아 어떤 것이 더 빛나는 별인지 모르는것처럼 나 역시도 뭘 해야 빛이 날지 모르겠다. 그러다 보니 지금까지 흘러왔다. 지금은 하늘의 별보단 땅의 금을 찾아야 하지 않을까? 대한민국 굴지의 대학, 전국에서 똑똑한 친구들만 모여있는 서울대학교 학생에게 한 설문조사관이 물었다. 동년배 중에서 가장 성공한 사람이 누구일 것 같으냐? 실로 대답은 놀라웠다. "자기가 무엇을 하고 싶은지 찾은 .. 2020. 4. 17.
[마케팅] Geert Hoftsted 의 문화 척도 용어 설명 홉스테드는 문화척도를 창안한 문화사회학자이다. 세계적 기업인 IBM 직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나라에 대한 문화적인 기반을 조사해 통계치를 낸 것이 문화척도론이다. 과거에는 기어트 홉스테드의 문화척도를 기반으로 광고 설정을 하기도 했었다. 해당 국가의 문화를 분석해 세계화 / 지역화 광고 전략을 기획했다. 하지만 사회가 다양해짐에 따라 홉스테드의 문화척도론은 신빙성이 잃어갔지만 여전히 해당 국가의 문화를 판단하기에 이만한 척도는 없다는 것이 나의 생각이다. 우선, 문화척도에 관한 "용어"에 대해서 설명한 후 다음번에 대한민국을 연결시키려 한다. 홉스테드 용어는 기본적인 정의와 함께 이해를 바탕으로 쓰여졌음을 미리 밝힌다. Power Distance 권력거리 지수다. 지수가 높고 낮음은 상사와 부하직원의 평.. 2020. 4. 15.
[마케팅] USP 정의와 예시 USP에 대해서 좀 더 명확한 의미를 담아보자면 "소비자에게 전달할 제품의 독특한 특성 판매"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1950년대 생산자 중심의 시장이 형성되어 있을 때 테드 베이츠의 설립자인 동시에 카피라이터인 로저 리브스에 의해서 만들어진 마케팅 전략이다. 독특한 특성을 판매이지만 쉽게 이야기하자면 "판매할 가치가 있는 장점"이다. 판매할 가치가 있는 장점을 찾기위해서는 제품의 독특함만을 장점으로 착각하면 안된다. 실제로 시장에는 비슷한 유형의 제품이 출시되고 있는지 그리고 그 중 소비자의 선택을 받는 제품의 특성과 자사의 제품의 특성을 비교해봐야 한다. 이는 매우 머리 아픈 싸움이지만 소비자의 인식 속에서 제대로 인지가 된다면 해당 제품에 대해서는 무조건적인 반사가 이뤄질 수도 있다. 그렇다면 자.. 2020. 4. 13.
[경영] 마크주커버그의 경영자 마인드 기업의 대표이면서 최종결정권자인 CEO의 경영 방침으로 회사가 구렁텅이로 떨어질지 아니면 계속 하늘을 날지가 결정이 된다. 말 한마디의 영향력이 회사의 막대한 부와 손실을 일으킬 수 있는 것이다. 경영자에게 있어 중요한 덕목 몇 가지가 존재한다. 오늘은 경영자의 마인드 셋을 살펴보고자 한다. 분명히 밝히지만 아래의 이야기들은 절대 "경영자"만이 해당되지 않는다. 절대적인 권력과 땅을 가졌던 과거의 부호들은 사람의 목숨을 길거리에 항상 있는 돌맹이처럼 생각했었지만 요즘은 같은 생각을 가진 대표 혹은 직원이 있다면 하루 빨리 그 자리를 떠나는게 좋다. 이러한 마인드셋은 자기 자신이라는 위대한 기업을 떨어트릴지 계속 하늘을 날지 결정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번에는 학창시절 하버드 대학 퇴학 위기까지 갔었던 1.. 2020. 4.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