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책 반응형 123 [책] 생활변화관측소의 2020 트렌드 노트 독후감, 감상평 항상 트렌드를 놓치기 싫어서 이것 저것 많이 보고, 해보는 스타일이다. 그럼에도 나와 다른 연령대가 하는 다양한 활동을 모조리 섭력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이 때문에 비슷한 연령대가 가지고 있는 활동들을 위주로 실행을 해봤는데 다른 연령대의 행동을 해보지 않아 몸이 근질거리는 건 어쩔 수 없었다. 그래서 이 책을 선택하게 되었다. 생활변화관측소는 다음소프트의 데이터 분석 연구소이다. 모여진 데이터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를 스토리 텔링으로 작성했다.다음에서 모여진 데이터를 처리하는 능력을 보유한 연구소의 연구원들이 작성한 글이라 글에 대한 신뢰감이 훨씬 높아졌다. 그래서 훨씬 내 생각을 굳히게 된 계기가 되었다. 사실 지금껏 다양한 선택 속에 살아온 우리들은 세상이 변화면서 더더욱 많은 선택지가 놓여있고,.. 2019. 12. 20. [책] 김민식의 영어책 한권 외워봤니? 독후감, 감상평 외국에서 살아봤던 사람이 아닌 이상 대한민국의 누구라도 영어를 잘하고 싶을 것이다. 잘하는 것도 외국인과 자연스럽게 의사소통이 되고 나아가서 내가 원하는 바를 충분히 내뱉을 수 있을 정도로 말이다. 작가 김민식은 MBC의 스타 PD다. 그런데 신기한 것은 이분이 영어를 잘하는 이유는 영어책 한 권을 외웠기 때문이라고 한다. 암기식 교육의 폐해를 우리가 모두 다 알고 있는데, 그런데도 우리는 암기식 교육을 받아왔는데 내 생각과 전혀 달라서 조금 보다가 치워 버렸다. 그리고 얼마 있고 난 뒤, 그래도 이왕 이래 된 거 한번 끝까지나 읽어보자는 마음으로 다시 책을 펼쳤는데 이게 웬걸? 작가의 이야기에 나도 모르게 공감을 하는 것이다. 가만히 생각해보면 내가 가장 잘 내뱉을 수 있는 영어 문장들 How old .. 2019. 12. 14. [책] 박영흠의 지금의 뉴스 지금의 뉴스는 박영흠 교수가 쓴 책으로 대한민국 언론사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양상을 담고 있는 책이다. 책에서는 내가 그토록 하고 싶었던 이야기들이 빼곡하게 들어있다.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는 다음과 같다. 지금 우리 대한민국에서 국민들이 생각하는 언론사의 신뢰도가 전 세계 꼴등이다. 이는 나는 단언컨대 포털에 기생할 수 밖에 없는 특이한 언론 문화 때문이라고 본다. 닷컴버블에서 지식인으로 살아남은 네이버는 다양한 콘텐츠를 보여주기 위해 많은 언론사들과 제휴를 맺었다. 전재료라는 것을 지불하면서 싼 값에 기사를 구입해 네이버에 송고를 했으며, 언론사들은 전재료와 함께 방문자 수도 폭등하고 광고의 수입도 많이 받을 수 있게 되었다. 하나의 선례가 남으면 다들 따라오듯, 다양한 언론사들이 네이버와의 .. 2019. 11. 24. [책] 설민석의 삼국지 1,2편 독후감, 감상평 개인적으로 생각하기에 현재 대한민국에서 활동하고 있는 최고의 이야기 꾼은 설민석 선생님이 아닌가 싶다. 요즘 즐겨보는 프로그램인 '책 읽어드립니다'에서도 출연하셔서 다양한 책들을 정말 맛나게 설명해주신다. 매번 선생님의 설명을 들으며 감탄을 하고 있는데 이번에는 음성이 아니라 텍스트로 즐겨봤다. 설민석 선생님의 삼국지 시리즈인데, 사실 나는 고백컨데 삼국지를 단 한번도 읽어보지 않았다. 이유는 너무 길고 어렵고 많은 이름과 지명이 나를 헷갈리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읽어보고 싶지만 지레 겁을 먹어서 그 세월이 지금까지 흘러왔다. 최고의 이야기꾼인 설민석 선생님의 삼국지 책을 냈다는 소리를 듣고 곧바로 1편과 2편을 구입해서 읽게 되었다. 서두에서 밝힌 것처럼 최고의 이야기 꾼이 맞다. 그리고 나처럼 입문자.. 2019. 11. 19. [책] 김재훈의 어메이징 디스커버리 3탄 독일 독후감, 감상평 리디북스 정기결제 첫번째 달동안 많은 책을 읽었다. 그 중에서 추천하고픈 책 몇 권을 리뷰해보려고 한다. 사실 리디북스 정기결제에서 읽은 책이라고 할 지라도 기존의 책 리뷰와 똑같을 것이다. 정말 뜬금없이 책 읽는 것을 좋아하는데 그때는 정말 이유없이 독일의 역사에 대해서 궁금했다. 우선, 독일이 궁금했던 이유는 지금의 우리나라와 똑같은 분단 국가에서 통일 국가로 나아갔기 때문이며, 지역명이 하나의 브랜드로 되고 있는 나라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어메이징 디스커버리는 나에게는 딱 맞는 책이었다. 우선, 배경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지식이 깊은 책은 읽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부끄러운 이야기긴 하지만 우리나라 역사도 잘 모를 판에 다른 나라의 역사를 알터가 없었다. 어메이징 디스커버리 독일 편은 그러한 배경지식이.. 2019. 11. 2. [책] 신성헌의 북저널리즘 독후감, 감상문 1탄 미디어 업계에 종사하고 있는 현재 시점에서 네이버의 몰락과 함께 뉴스 매체들의 몰락도 어쩌면 야기되어 있었다. 그런 상황에서 나와 같은 업계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들은 어떻게 하면 현재 상황을 타계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을 여럿 했을 것이다. 여기에서 '여럿'이라는 표현은 어쩌면 성공의 가도를, 어쩌면 몰락의 가도를 달릴 수 있는 위험한 길을 '선택'할 수 밖에 없는 방법들일 터. 현대에 있어서 가장 획기적인 매체라고 하면 아무래도 뉴욕 타임즈가 아닐까 싶다. 뉴욕 타임즈는 그간 많은 성공과 실패를 경험 했으며 지금껏의 성공과 실패의 경험을 모조리 결합한 형태로 구독 모델을 실시하고 있다. 어떤 기사 페이지에는 무료로 제공을, 어떤 기사에는 반 페이지만 제한시켜 넣고 더 알아보기를 눌러서 읽고 싶은 사람.. 2019. 10. 17.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