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식 반응형 83 [지식] 습관 만들기에 유용한 어플리케이션 추천은? / Ourgrowth 서론 우리는 세상에서 살아가면서 다양한 자극을 받고 있다. 예를 들어서, 우리는 하루에 보는 광고만 수 천개가 넘으며, 2011년 자료이긴 하나, 또 다른 연구에서는 200여 개가 채 되지 않는다고 말한다. 이 2개의 자료에서 말하고자 하는 바는, 우리가 광고를 얼마나 많이 보고 있느냐가 아니라 그만큼 많은 수의 광고로 인해 무의식적으로 자극을 받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자극은 우리가 정신없고, 다양한 자극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받게끔 만든다. 이는 곧 정신적, 육체적 피로를 불러일으키는 요소이다. 본론1 실제로 스트레스 자극으로 인한 SNS 중독과 상관관계를 조사한 연구에 따르면, "자기통제력이 낮은 집단은 스트레스의 지각 정도가 높아질수록 SNS 중독 경향성이 많이 증가"라고 말한다. 이는 학생들을 .. 2021. 4. 14. [마케팅] SEO 가이드라인과 구글 업데이트 확인하는 사이트 4개 오늘은 티스토리에서 블로그를 이용하는 사람을 위한, 꿀팁을 가지고 왔다. 나 역시도 티스토리로 글을 쓰고 있는 입장이라 유용한 정보였다. 어쨌든 거두절미하고 이야기하겠다. 구글에 내 글이 잘 노출되게끔 하는 방법은 SEO 라고 한다. 검색 엔진 기반인 구글에서 상위노출 시켜줄 수 있는 일종의 가이드라인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추가로 구글은 업데이트에 따라서 상위 노출을 할 수도, 못할 수도 있다. 매일 업데이트를 하지는 않지만 그래도 가끔 업데이트 정보를 확인하고 앞으로의 상황을 대비하는 것도 매우 좋은 습관이다. (참고로 구글의 업데이트는 안드로이드 기반으로 대부분의 웹사이트가 사용하고 있는 체제이다. 심지어 네이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도 안드로이드 기반의 뼈대를 가져와서 구축했다. 이 말인즉슨, 네이버가.. 2021. 4. 9. [마케팅] 레이블링 게임과 마케팅 이야기 얼마 전, 메타버스 관련 이야기를 했었다. 앞으로 벌어질 미래 상황에 대해 메타버스는 세상의 흐름이라고 생각했다. 이걸 주식으로 연결시켰고, 간단하지만 키워드 중심으로 로블록스와 제페토를 전달했다. 이번에는 같은 종류이긴 하나, 조금 넓은 개념을 알려드리려고 한다. 바로, 레이블링 게임이다 2021년 트렌드 코리아에서도 레이블링 게임, 단어가 등장한다. 김난도 교수에 따르면 "자기 정체성을 특정 유형으로 딱지(레이블)를 붙인 뒤, 해당 유형이 갖는 라이프스타일을 동조/추종함으로써 정체성의 불확실성을 해소하려는 게임화된 노력"이라고 했다. 이는 다른 말로 하면 멀티 페르소나이다. 레이블링 게임과 페르소나도 어려운 단어라고 생각이 든다면, 다음의 예를 들어보면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요즘 카카오톡이나 각종 .. 2021. 4. 7. [주식] ESG 경영, 사례 요즘 전 세계의 기업 방향성은 ESG로 향하고 있다. 오늘은 주식 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기업 가치를 평가하는 기준인 ESG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우선 ESG의 정의를 내려보자. ESG는 환경(Encironmental),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의 앞글자를 땄다. 기업의 비재무적 성과를 측정하는 지표다. 네이버 지식백과에 따르면, "ESG 경영은 기업의 지속적 성장을 평가하는 비재무적 성과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유럽연합이나 미국 등에서는 이미 기업을 평가하는데 중요한 기준으로 자리 잡고 있다." 고 한다. 기존의 투자방식이 단순히 기업의 매출과 미래의 먹거리를 주로 살펴봤다면, 이제는 기업이 얼마나 사회적인 공헌을 많이 하느냐, 혹은 그러한 노력을 하고 있는지도 평가의 대상이란.. 2021. 3. 31. [주식] 메타버스와 로블록스 그리고 제페토 불과 몇 달 전, 코로나 사태로 언택트 대한 열풍이 불더니만, 요즘 들어서는 못지않게 메타버스에 관한 이야기가 돈다. 그래서 오늘은 메타버스에 관해 알아보았다. 우선, 메타버스가 무엇일까? 메타버스는 가공, 추상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현실 세계를 가르키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다. 쉽게 이야기해서 3차원 가상 세계를 가르키는 단어다. 사실 이 단어는 현재 등장한 단어가 아니다. 1992년 미국 작가 닐 스티븐슨의 공상과학 소설인 에서 처음 등장했다. 소설에서는 아바타라는 단어도 처음 등장하기도 하는데, 소설에서는 메타버스에 입장하기 위해 아바타의 몸을 빌려 여러 활동을 벌이는 내용이 있다. (영화 아바타를 생각하면 된다) 당시, 1992년에는 메타버스와 아바타 그리고 가상 공간에 대한.. 2021. 3. 24. [지식] 언론사의 콘텐츠 제휴, 이제는 MSN으로? 2탄 지난 시간에 ([지식] 언론사의 콘텐츠 제휴, 이제는 MSN으로? 1탄) 에 밝혔듯, 오늘은 MSN 제휴와 관련 이야기를 풀어볼 예정이다. 이전 시간에는 네이버/다음에 집중된 뉴스 콘텐츠를 좀 더 다양한 곳에, 다양한 분야에 확장해야 한다고 이야기했다. 지금부터 풀 내용은 MSN에도 우리의 콘텐츠를 뿌려야 하는 곳이며, 제휴를 맺기 위한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그 전에 하나만 짚고 넘어가자. 아무래도 대한민국에서 네이버보다 MSN의 트래픽은 현저히 낮다는 점이다. 아래의 그림 잠시 보자. 바쁜 사람은 맨 밑으로 가자. Similarweb 에서 MSN과 네이버 트래픽을 비교해 봤다. Total Visit을 보면 MSN이 787M이다. 2월 기준이니 MSN의 방문자는 약 7억 명이 된다. 네이버는 1.. 2021. 3. 19. 이전 1 2 3 4 5 6 7 ···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