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지식
반응형
83

Black Monday(블랙 먼데이)란? 검은 월요일이라고 부르는 경제학 용어의 뜻은 무엇일까? 검은 월요일은 반복적인 주기로 주가가 급락하는 현상을 의미하는 일반명사이다. 2019. 8. 21.
스태그플레이션란?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이란 경기침체를 뜻하는 스태그네이션(stagnation) + 물가 상승을 뜻하는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 정의 물가상승을 동반하는 경기침체 현상을 의미한다. 원인 원유 및 원자재의 가격 상승으로 제품 생산비가 동반 상승하기 때문. 결과(예시) 기업은 에어컨의 생산 비용이 올라감에 에어컨의 가격을 올린다. 100만원이면 구매가 가능했던 에어컨이 150만원으로 가격이 오른 것이다. 가격이 오르면 100만원이면 구매능력이 있는 10명이 살 수 있지만 150만원이면 절반인 5명만 구매가 가능하다. 이에 기업은 전반적인 매출의 감소가 이어지고 소비자는 에어컨 비용을 아껴 부채로 여름을 나기 시작한다. 매출의 감소는 기업을 유지하려는 목적성 때문에 인건비를 줄이게 .. 2019. 8. 18.
[마케팅] 매출을 위한 광고하는 방법 많은 사람들이 매출을 위해서 광고를 어떻게 구성해야 될지 고민한다. 하지만 분명히 알아야 할 것은 현대 사회에서는 광고들이 소비자들을 괴롭히고 있다는 점이다. 그래서 소비자들이 의식적으로 광고를 무시하고 있다. 예전처럼 광고를 하지만 기록적인 매출을 올릴 수 없음은 기업, 광고업계에서 피부로 느끼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광고를 본능적으로 무시하는 소비자들을 괴롭히지 않으면 현 상황에서 뒷걸음을 칠거 같은 불안감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광고로 소비자를 괴롭히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나는 매출을 위해서는 광고를 절대 하면 안된다고 말하고 싶다. 그래도 광고를 해야 된다면 엄청난 정보량 속에 살면서 민감한 소비자에게 자신의 정보(광고)를 전부 도달 시킬 수 있는 방안이란 과연 있을까? 나는 이러한 문제점에 대.. 2019. 6. 9.
[인문학] 인간의 본성(本性)은 선할까 VS 악할까? 얼마전, 친구에게 전화가 왔습니다. "너는 인간이 악하다고 생각해? 선하다고 생각해?"라고요. 그래서 저는 친구에게 물어봤습니다. "너는 어떻게 생각해?" 하지만 돌아온 대답은 "한번도 생각해본 적이 없어" 그래서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인간 본성에 대한 탐구를 함으로써 사회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사건들을 규정하고, 생각의 체력을 기를 수 있도록 말입니다. 글의 구성은 1. 맹자(성선설), 순자(성악설)의 논리를 살펴보며, 2. 간단한 저의 생각을 적겠습니다.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 와 악하다는 오래전부터 나온 철학적인 질문이지만 아직까지 답이 명확하진 않죠. 오늘은 다양한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는 인간 본성에 대한 탐구를 해보려고 합니다. 우선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는 주장부터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동양철학.. 2019. 5. 19.
스킨(토너)를 바르는 이유 일반적으로 스킨 혹은 토너를 바르는 이유는 클렌징으로 지워지지 않는 화장품의 잔재들이나 노폐물을 정리하기위함이다. 여기서 문제는 꼭 스킨을 발라야 되느냐다. 세안을 하고 나서 반드시 스킨을 발라야할까? 정답은 아니라고 한다. 이유에 대해서 설명한다. 1. 스킨의 성분 90퍼센트 이상 정제수이다. 2. 스킨 토너를 바름으로써 별 효과가 없다. 광고에서 스킨을 소개할때 10퍼센트 혹은 5퍼센트의 함량을 이야기한다. 여기서 간략하게 광고의 목적성에 대해서 알아보자. 그래야 이야기가 빠르다. 광고라는 것 자체가 제품에 대한 환상을 심어주기 위한 목적을 가진 마케팅 활동의 일환이다. 즉 제품에 단점을 감추고 장점을 극대화하여 소비자에게 보여준다. 이에 노출된 소비자는 브랜드에 대해 특정한 심리적 영향을 받고 지속.. 2017. 9. 30.